콘텐츠로 바로가기대메뉴 바로가기

꿈꾸는 당신을 응원합니다전주 청년온라인플랫폼

청년뉴스

  • [청년뉴스57호]전북 청년 정책 현재와 미래일자리·정책 지원·소통 ‘삼박자’ 갖춰야
  • 작성자관리자

    등록일2020-10-23

  • 청년 정책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부분은 일자리로 평가 받는다. 일자리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다른 방식으로 진행되는 청년 정책은 곁가지에 불과할 수 있다. 청년이 지역에 정착해 생활하기 위해서는 전제조건이 일자리가 있어야 하고, 이 때문에 청년 정책은 자연스럽게 일자리 문제로 귀결된다. 전북도 역시 마찬가지다. 특히, 대기업 등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 전북도는 갖가지 청년 정책을 펼치면서도, 일자리 정책을 가장 앞세우는 것은 당연한 논리다. 전북도의 청년 정책은 향후에도 일자리를 주축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도 일자리 이외에 지원과 소통 문제도 병행해 추진할 계획이다. 일자리 문제 해결과 정책 지원, 소통 ‘삼박자’를 갖춘 정책을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전북도가 추진하는 청년 정책이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 지 관심과 조언이 필요한 시점이다. /편집자 주



     

    청년 일자리 ‘매칭’

    겉으로 보기에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전북도의 경우, 도내 중소기업을 통한 청년 일자리 매칭 사업이 청년 일자리 정책의 근본이 될 전망이다. 청년 일자리의 대표적인 사업은 행안부 공모로 추진되는 ‘지역 주도형 청년 일자리사업’으로, 지역의 특성에 맞게 청년에게 직접 일자리와 경험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현재 2021년 지역 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 공모 신청 중으로, 전북도의 내년도 계획은 80개 사업, 689억 원 규모, 3000개의 일자리를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는 올해보다 247억 원, 905개 일자리가 증가한 규모다.

    특히, 내년도 사업에 대해서는 대규모의 청년 일자리 사업을 발굴하고, 포스트 코로나 대응에 따라 디지털·비대면 분야 일자리 발굴이 목표다.

    내년 신규 사업으로 추진하는 청년 일자리는 전북형 디지털 청년 일자리와 우수 강소기업 청년나래 일자리, 군산형 일자리를 통한 미래형 전기차 산업 등이다.

    한국판 뉴딜계획과 연계한 ICT 등 디지털 분야 전문교육을 이수하거나 관련 자격증이 있는 미취업자 청년들에게 디지털·비대면 산업 분야 일자리 200개를 제공한다. 청년들이 선호하는 400개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우수 강소기업 청년나래 일자리 정책은 도내 기업 가운데 급여뿐 아니라 근무시간, 복지 등 청년층이 원하는 조건을 갖춘 우수기업을 발굴,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신규 청년 일자리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전문가 멘토단을 전 사업에 확대 운영함으로써 내실 있는 사업관리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청년 리바운드 ‘재도전’

    청년 일자리 사업 가운데 전북도가 특히 중점으로 추진하는 사업이 ‘Rebound 청년 일자리 매칭’ 사업이다.

    청년이 선호하는 조건을 갖춘 우수 기업을 발굴해 제공함으로써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도내 좋은 일자리로의 취업을 유도한다는 방안이다.

    다른 지역에 비해 국가기관(9.9%↑)이나 대기업(4.2%↑) 선호도가 높은 전북지역 특성상, 희망 취업에 실패한 청년들이 ‘재도전’ 할 수 있는 취업 도약 프로그램으로 평가받는다.

    재도전 청년들의 재도전 조건에 부합하는 ‘청년이 좋아하는 기업’을 발굴하고, 맞춤형 취업 정보를 제공해 일자리 미스매칭 해소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청년들이 원하는 수준의 연봉과 복지 등 특정 분야에서 청년이 선호하는 조건을 갖춘 도내 우수기업을 발굴해 일자리를 원하지만, 정보가 부족한 청년들을 대상으로 직접 연계한다는 구상이다. 도내 우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과 청년의 만남의 장을 마련해 공개된 정보뿐 아니라 청년이 실제 필요로 하는 정보를 반영해 선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대학 일자리센터와 연계해 재도전 청년 300명을 모집하고, 청년이 좋아하는 기업 100곳을 선정하는 것이 목표다.

     

    체계적 지원 위한 제도 마련

    전북도는 ‘전라북도 청년 기본조례’ 개정으로 청년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올해 제정된 청년기본법 및 시행령에 부합하도록 청년의 날과 위원회 위촉 시 청년 비율을 정하는 등 청년이 실제로 정책 개발 과정에 참여하도록 제도화 할 전망이다. 11월 도의회에 상정 예정으로, 올해 안에 절차를 마무리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신규 사업으로 추진하는 청년공동체 활성화 지원에도 나선다. 지역에 활동하는 청년공동체를 발굴하고, 지역 자원 등을 연계해 안정적인 정착 유도를 통해 지역 활성화 기반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전북 청년 5인 이상으로 구성된 법인 및 단체가 대상이다.

    행정에서는 청년 공동체를 찾아 지역사회 활성화 및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조사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시·군 청년센터를 활용한 청년 참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아울러 청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시행하며, 청년 소통 교류 지원 및 다른 지역 공동체와의 연계 네트워크 활동 등도 지원할 계획이다.

    실제로 올해 행안부 지원을 받아 시행한 익산과 남원 청년공동체에서 착안해, 2021년부터는 전북도가 주도적으로 국비를 확보해 도내 15개 팀으로 지원대상을 늘릴 계획이다. 14개 시·군 지역 차원의 안배를 통해 특정 지역에 편중되지 않도록 할 전망이다.



    소통으로 ‘체감도’ 향상


    전북도 청년 정책 추진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로 ‘체감도’가 꼽힌 바 있다.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지만, 대상이 되는 청년이 제도를 몰라 활용하지 못하면 실효성을 거두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향후 추진하는 청년 정책에 대해 전북도는 체감도 향상이 필수라는 의견이다.

    올해 출범한 전북 청년 허브센터 기능 강화가 필수적이다. 허브센터의 본 역할에 맞춰 전북 모든 청년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서비스 제공 및 청년 정책 정보를 한 곳에서 알아볼 수 있도록 원스톱 서비스를 강화할 계획이다. 청년 유관기관 사이에 연계와 협력을 강화해 실질적인 허브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협의체를 운영하고 협의체마다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기존에 운영하던 대학 일자리센터를 14개 시·군에 더해 동일 생활권으로 분류하는 광주, 전남 지역까지 확대한다.

    특히, 올해 긍정적인 평가를 얻은 ‘찾아가는 청년 소통학교’와 ‘토닥토닥 마음달램 상담소’ 운영도 지속적으로추진한다.

    최근 코로나19 상황에 더해 청년에게 필수적인 온라인 플랫폼 활성화에도 중점을 둘 계획이다. 온라인 플랫폼 편의성을 높이고, 청년 모임 활동을 공유하고 소통하는 교류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거점 커뮤니티 플랫폼 개발도 추진한다.



    출처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http://www.jjan.kr)
담당부서 :
청년정책과 청년정책팀
전화번호 :
063-281-5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