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사이트
지명유래
전주군 助村面지역 伊北面지역과 伊東面지역 일부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에 병합하여 조촌면이라 하여 東山里, 古浪里,如意里,長洞里,萬成里,銅谷里,詩川里, 五松里, 上可里, 半月里, 花田里, 聖德里, 龍亭里 등 13개리로 개편 관할하였는데 1940년 10월 1일 부령 제 220호에 의하여 상가리가 전주부(시)에 편입되고 1957년 11월 6일 법률 제 453호에 의하여 오송, 시천, 동곡의 3개리와 동산, 여의의 각 일부가 전주시에 편입됨
■ 관할 법정동 (4개동)
여의동, 여의동2가, 고랑동, 장동
① 여의리
본래 전주군 이동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如意里, 靈岩里, 芳草里, 花開里, 龍井里, 柳堤里, 新杏里, 龍洞里, 甘泉里, 德村里, 良馬里, 舊酒里와 조촌면 德龍里, 足項里, 柳上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여의리라 해서 조촌면(읍)에 편입되었다 전주시에 편입됨
◆ 여의(如意)(여암 如岩) - 여의리의 중심마을, 여의주와 같은 바위가 있기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함
◆ 방초동(芳草洞) - 여의 동쪽에 있는 마을
◆ 양마리(良馬里) - 파철 서남쪽에 있는 마을, 이 마을에 渴馬飮水혈이 있다고 함
◆ 용정리(龍井里) - 화개리 남쪽에 있는 마을, 이 마을에 용샘이 있다고 함
◆ 화개리(花開里) - 양마리 남쪽에 있는 마을, 화개라는 명당이 있다고 함
◆ 파철 - 여의 서남쪽에 있는 마을, 파철교라는 다리가 있었음
② 동산리 [여의동2가로 법정동 변경('19. 10.~)]
본래 전주군 조촌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九上里, 足項里, 德龍里, 柳上里, 盤龍里, 銅谷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동산리라 해서 조촌면(읍)에 편입되었다 전주시에 편입됨.
◆ 구상리(九上里) [구사리(九思里)] - 동산 동남쪽에 있는 마을
◆ 반룡리(盤龍里) - 동산 동남쪽에 있는 마을, 앞산에 용이 서려 있는 것처럼 보여 붙여진 이름
◆ 덕룡(德龍) – 동산 동남쪽에 있는 마을, 낮은 구릉들이 보기에 용의 형상을 닮아 붙여진 이름
③ 고랑리
본래 전주군 조촌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春坪里, 月谷里, 水谷里, 平里, 古浪里, 新甘里, 上坪里, 淸溪里, 上新里, 甘井里와 김제군 回浦面 陳機里 및 창덕면 大川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고랑리라 해서 조촌면(읍)에 편입되었다 전주시에 편입됨
◆ 고랑(古浪)(호랑이) - 고랑리의 중심 마을, 지형이 호랑이처럼 생겼기에 호랑이라 하던 것이 변하여 고랑으로 되었다고 함
◆ 감수리(甘水里, 坎水里, 감수멀, 감수말) - 고랑 동남쪽에 있는 마을
◆ 신흥리(新興里) - 고랑 동북쪽에 새로 된 마을
◆ 평리(坪里)(주업정 酒業亭, 주막정이, 주역정이 駐驛亭) - 고랑 동북쪽에 있는 마을
◆ 삼평(三坪) - 삼화동(三和洞)과 춘평(春坪)이 합하여 이루어진 마을
④ 장동리
본래 전주군 이동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釜洞里, 井岩里, 再訪里, 永洞里, 化岩里, 內洞里, 龍山里, 長洞里와 이남면 鷺江里, 中里 일부를 병합하여 장동리라 해서 조촌면(읍)에 편입되었다 전주시에 편입됨
◆ 장동(長洞, 墻洞) - 장동리의 중심 마을, 장씨가 많이 살았기에 장동이라고 부른다고 함
◆ 가마골(부동 釜洞) - 정암 서쪽에 있는 마을, 지형이 가마와 같다고 함
◆ 앞거리(기지리 機池里) - 내동리 서쪽에 있는 마을, 틀못이 있어 기지라 부르기도 함
◆ 내동리(內洞里) - 장동 북쪽에 있는 마을, 장동 안쪽이기에 붙여진 이름
◆ 영동(永洞) - 내동 북쪽에 있는 마을
◆ 용산(龍山) - 내동 동쪽에 있는 마을
◆ 재방(再房) - 내동 동북쪽에 있는 마을
◆ 정암(井岩) - 앞거리 북서쪽에 있는 마을, 바위틈에서 흘러나오는 샘이 있음
◆ 동재(洞再) - 영동과 재방을 합하여 부르는 이름
■ 관할 법정동 (4개동)
여의동, 여의동2가, 고랑동, 장동
① 여의리
본래 전주군 이동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如意里, 靈岩里, 芳草里, 花開里, 龍井里, 柳堤里, 新杏里, 龍洞里, 甘泉里, 德村里, 良馬里, 舊酒里와 조촌면 德龍里, 足項里, 柳上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여의리라 해서 조촌면(읍)에 편입되었다 전주시에 편입됨
◆ 여의(如意)(여암 如岩) - 여의리의 중심마을, 여의주와 같은 바위가 있기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함
◆ 방초동(芳草洞) - 여의 동쪽에 있는 마을
◆ 양마리(良馬里) - 파철 서남쪽에 있는 마을, 이 마을에 渴馬飮水혈이 있다고 함
◆ 용정리(龍井里) - 화개리 남쪽에 있는 마을, 이 마을에 용샘이 있다고 함
◆ 화개리(花開里) - 양마리 남쪽에 있는 마을, 화개라는 명당이 있다고 함
◆ 파철 - 여의 서남쪽에 있는 마을, 파철교라는 다리가 있었음
② 동산리 [여의동2가로 법정동 변경('19. 10.~)]
본래 전주군 조촌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九上里, 足項里, 德龍里, 柳上里, 盤龍里, 銅谷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동산리라 해서 조촌면(읍)에 편입되었다 전주시에 편입됨.
◆ 구상리(九上里) [구사리(九思里)] - 동산 동남쪽에 있는 마을
◆ 반룡리(盤龍里) - 동산 동남쪽에 있는 마을, 앞산에 용이 서려 있는 것처럼 보여 붙여진 이름
◆ 덕룡(德龍) – 동산 동남쪽에 있는 마을, 낮은 구릉들이 보기에 용의 형상을 닮아 붙여진 이름
③ 고랑리
본래 전주군 조촌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春坪里, 月谷里, 水谷里, 平里, 古浪里, 新甘里, 上坪里, 淸溪里, 上新里, 甘井里와 김제군 回浦面 陳機里 및 창덕면 大川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고랑리라 해서 조촌면(읍)에 편입되었다 전주시에 편입됨
◆ 고랑(古浪)(호랑이) - 고랑리의 중심 마을, 지형이 호랑이처럼 생겼기에 호랑이라 하던 것이 변하여 고랑으로 되었다고 함
◆ 감수리(甘水里, 坎水里, 감수멀, 감수말) - 고랑 동남쪽에 있는 마을
◆ 신흥리(新興里) - 고랑 동북쪽에 새로 된 마을
◆ 평리(坪里)(주업정 酒業亭, 주막정이, 주역정이 駐驛亭) - 고랑 동북쪽에 있는 마을
◆ 삼평(三坪) - 삼화동(三和洞)과 춘평(春坪)이 합하여 이루어진 마을
④ 장동리
본래 전주군 이동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釜洞里, 井岩里, 再訪里, 永洞里, 化岩里, 內洞里, 龍山里, 長洞里와 이남면 鷺江里, 中里 일부를 병합하여 장동리라 해서 조촌면(읍)에 편입되었다 전주시에 편입됨
◆ 장동(長洞, 墻洞) - 장동리의 중심 마을, 장씨가 많이 살았기에 장동이라고 부른다고 함
◆ 가마골(부동 釜洞) - 정암 서쪽에 있는 마을, 지형이 가마와 같다고 함
◆ 앞거리(기지리 機池里) - 내동리 서쪽에 있는 마을, 틀못이 있어 기지라 부르기도 함
◆ 내동리(內洞里) - 장동 북쪽에 있는 마을, 장동 안쪽이기에 붙여진 이름
◆ 영동(永洞) - 내동 북쪽에 있는 마을
◆ 용산(龍山) - 내동 동쪽에 있는 마을
◆ 재방(再房) - 내동 동북쪽에 있는 마을
◆ 정암(井岩) - 앞거리 북서쪽에 있는 마을, 바위틈에서 흘러나오는 샘이 있음
◆ 동재(洞再) - 영동과 재방을 합하여 부르는 이름
연혁
년/월 | 연혁 |
---|---|
2023.06.30 | 만성동 일부지역(만성지구,용흥,두현) 혁신동 편입 |
2019.10.01 | 동산동에서 여의동으로 명칭변경 |
2018.07.01 | 동산동에서 혁신동 분동(장동, 만성동 일부) |
2014.02.22 | 동산동주민센터(북부권복합문화관) 신축이전 |
2001.09.25 | 동산동주민자치센터 개소 |
1991.08.07 | 동산동사무소 현 위치 신축 이전 |
1987.01.01 | 완주군 조촌읍에서 전주시로 편입(동산동, 조촌동) |
1985.10.01 | 완주군 조촌면에서 읍으로 승격 |
1957.11.06 | 완주군 조촌면 일부 전주시 편입(팔복동) |
1914.10.01 | 완주군 조촌면 |